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

인텔리제이(intellij) spring-boot-devtools 추가 자동컴파일 설정 인텔리제이에 spring-boot-devtools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면 html,css 같은 resources 에 있는 정적파일들을 수정 후에 서버 재시작없이 페이지에서 새로고침만 해주면 변경사항이 반영된다길래 설정해줬다. 1. devtools 의존성 추가 bulid.gradle 파일에 dependencies 부분에 runtimeOnly('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 이거 한줄을 추가해주자. 새로 내용이 추가되고 나면 오른쪽 상단에 새로고침 버튼(Load Gradle Changes) 같은게 생기는데 클릭해주자. 변경된 gradle을 반영할 수 있는 버튼인 것 같다. 2. Settings 설정 File - Setting 클릭 Compiler 검색.. 2023. 2. 10.
xml 에러 : [xX][mM][lL]"과 일치하는 처리 명령 대상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server.xml 에 설정을 바꿔야 할 것이 있어서 기존 server.xml의 전체 내용을 주석처리하고 위에 냅둔 채로 새로운 내용을 아래에 복붙하고 서버를 돌렸더니 에러가 떴다. 해결방법 1. 선언 앞에 공백 또는 다른 내용이 있으면 안된다. 2. xml 파일에는 하나의 선언만 있을 수 있으며 가장 맨 위에 있어야 한다. 출처: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9889132/error-the-processing-instruction-target-matching-xxmmll-is-not-allowed 2023. 2. 9.
ERwin nsm파일 연결하기 (영문명으로 변경) ERwin에서 Physical로 바꿔도 테이블명과 컬럼명이 한글로 나올때가 있다. nsm 파일이 있다면 nsm 파일을 연결해서 영문명으로 변경가능하다. Tools - Names - Model Naming Options 클릭 Use File 에서 Browse 눌러서 nsm파일을 찾아주자 nsm 파일을 선택하고 Set 이제 Physical로 볼때 영문으로 나올 것이다. 2023. 2. 8.
git 명령어 모음 (계속 업데이트중) clone: 원격 저장소 (github) 을 내 컴퓨터에 복사해 온다. add: 내 컴퓨터에서 작업한 파일들을 스테이지에 추가 commit: 스테이지에 올라온 파일들을 가지고 내 컴퓨터에 저장 (세이브와 같다.) push: 커밋들을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 checkout 브랜치명 : 해당 브랜치로 이동 merge : 병합 예를 들어 git checkout main 쳐서 main 브랜치로 이동후에 version2를 병합하고 싶다면 git merge version2 라고 치면 병합됨 2023. 2. 7.